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코로나19
- Java
- Python
- Laravel
- 홈택스
- blockchain
- win32
- elasticSearch
- as후기
- 당사자표시정정신청서
- Tutorial
- 코로나
- 사업자계좌
- php
- 개인사업자
- auth
- 이더리움
- Eclipse
- vue
- Bootstrap
- 소액임금체불
- Blade
- reactnative
- cartalyst
- 전자소송
- Sentinel
- 체당금
- javascript
- 인민공원
- 보정명령
Archives
- Today
- Total
그냥 사는 이야기
AWS EC2에서 MongoDB 설치 Setting 본문
반응형
MongoDB 설치
AWS 인스턴스에서 mongodb를 우분투에 설치하기 위해서는
mongodb install
$ sudo apt-key adv --keyserver hkp://keyserver.ubuntu.com:80 --recv 9DA31620334BD75D9DCB49F368818C72E52529D4
$ echo "deb [ arch=amd64 ] https://repo.mongodb.org/apt/ubuntu bionic/mongodb-org/4.0 multiverse" | sudo tee /etc/apt/sources.list.d/mongodb-org-4.0.list
$ sudo apt-get update
$ sudo apt-get install -y mongodb-org
data directory 만들기
$ sudo mkdir -p /data/mongodb
$ sudo chown -R ubuntu:ubuntu /data
$ chmod 777 /data/mongodb
설정 변경
$ sudo vi /etc/mongod.conf
...
dbpath=/data/mongodb
Mongodb 기본 운영
mongodb 서비스 실행
$ sudo service mongod start
실행되었는지 확인
$ sudo cat /var/log/mongodb/mongod.log
서비스 등록
$ sudo systemctl enable mongod
서비스 제어
sudo service mongod restart # 재기동
sudo service mongod stop # 정지
sudo service mongod status # 상태보기
Mongodb 실행
$ mongo
# DB 선택
> use employee
# 유저 생성
> db.createUser( {user: 'kim', pwd: 'kim2019', roles: ["readWrite", "dbAdmin"] } )
포트 포워딩
응용 프로그램의 포트가 외부로 오픈되야 할 경우 AWS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정확히ㅣ 몰라 아래처럼 임시로 하였다. 가령 3000 port를 80port 로 변경하여야 하는데 우분투에서 아래의 명령을 주었다.
$ sudo iptables -t nat -A PREROUTING -i eth0 -p tcp --dport 80 -j REDIRECT --to-port 3000
정 헷갈리면 나이브하게 다 풀어서 해야 한다.
'Developm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석의 재미 있는 활용 (0) | 2021.03.08 |
---|---|
Short-Circuit Evaluation에 대해서 (0) | 2021.01.06 |
토발즈의 더 좋은 코드 (0) | 2020.12.30 |
Comments